흐르는 물3 2007. 1. 15. 17:41

PQ5R법: 심리학적인 연구를 통해 효율성이 입증된 학습방법

 

 

 

 

 

1.

Preview (개관, 훑어보기)  :  학습할 장을 전체적으로 개관할 것!

 

 

 

 

 

-> 한 장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체제를 파악, 큰제목, 소제목 보기
-> 훑어보며 흥미를 유발하는 그림, 도표, 사진등도 가볍게 읽어본다.
-> 각 장의 서두(머리말), 요약 읽기(이해가 되지 않아도 OK)
-> 개관을 통해
전체 체제 구성과 개략적인 내용 파악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.

Question (의문제기)  :  의문의 제기가 배움의 시작이다! 

 

 

 

 

 

-> 개관하며 의문, 질문을 만들어 내라! (예, 컴퓨터와 심리학?)
-> 훑어보면 얻는 내용과 자기자신의 지식을 연결, 관련지으려고 노력하면 의문이 생긴다.
-> 즉 훑어본다는 것이 실제로는
적극적, 능동적인 과정
-> 인간의 지식의 획득은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것과 다르다!
->
기존의 지식에 새 정보를 연결시키고, 이를 다시 재 정리하고 새롭게 구조화
-> 혹은 소제목을 그냥 질문으로 만들 수도 있다.
-> 질문, 의문을 노우트에 정리해 놓는 것도 좋은 전략
-> 질문, 의문제기를 두려워 말 것(혼자하는 것이기에 어리석은 질문이란 있을 수 없다!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

Read (읽기)  :  배우고자 하는 내용을 정독한다!

 

 

 

 

 

-> 읽으며, 여러 심리적, 인지적 노력을 해야한다.
-> 기본 원칙은
능동적 독서(active reading)
-> 앞서 여러분이 개관하며 제시했던 의문, 질문에 답을 찾아라!
   (답을 못 찾겠으면, 혹은 의문이 해소되지 않으면 수업시간에 질문)
-> 각 문단, 단락을 읽고난 후, 그 부분을 한, 두 문장을 요약해 보아라!
-> 요약이 안되면, 이해에 실패했다는 징후!
-> 자신의 이해 과정을 monitoring 할 것(이해가 안되는 부분 표시)
-> 자신이
알고 있는 지식(상식, 전공지식, 독서를 했던 지식)과 연결시켜라!
-> 불일치가 발생하면 여러 방법을 동원해 해결하라.
-> 독서와 강의를 연결 시킬 것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4.

Reflect (반추하기)  :  마음 속으로 하는 지식과의 놀이!

 

 

 

 

 

-> 읽기 과정의 연속으로 배운 정보를 공고히 하는 과정
-> 학습한 내용을 다시 머리 속에 떠 올리며 생각하는 것
-> 한 장의
전체적인 구성과 체제를 생각해 보고
-> 각 문단, 소 단락의 요약을 생각해 보고
-> 강의에서 강사가 강조한 것을 다시 기억해 본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5.

Recite (암기하기)  :  기본적인 용어, 개념을 확실히 파악 할 것! 

 

 

 

 

 

-> 각 학문 분야는 독특한 개념, 용어, 명제(문장)을 사용한다.
-> 이러한 개념, 용어의 정의와 대표적인 좋은 예를 확실하게 이해 암기하여
   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6.

Review (복습하기)  :  Practice makes perfect!

 

 

 

 

 

-> 기억에 정보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재 학습이 필요
-> 1번에서 5번까지의 과정을 반복해서 거침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7.

Retrieval Practice (인출연습)  :  전략적인 지식의 활용!

 

 

 

 

 

-> 시험, 발표, 토론과 관련지어 기존에 획득한 지식을 끄집어 내는 훈련
-> 문제를 스스로 내고 스스로 풀어 보는 것 (말로, 혹은 쓰면서)
-> 이러한 훈련을 통해 신속히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. (시간 제한의 극복)
-> 한 두 문제를 찍지 말고 가능한 많은 문제를 출제하고 풀어보기
-> 이러한 인출 과정이 기억을 돕기도 하고, 지식을 정리하기도 한다